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소프시스 밤부 좌식 엑슬 테이블
- 한달독서
- 북한살둘레길
- 캐치마인드
- 면접
- 목적중심리더십
- 리얼하다
- 재택근무
- 지지않는다는말
- 안드로이드
- 아비투스
- 끝말잇기
- 함수형 프로그래밍
- 1일1커밋
- 슬기로운 온라인 게임
- 어떻게 나답게 살 것인가
- 한단어의힘
- 자취필수템
- 소프시스
- 한달어스
- 목적 중심 리더십
- 커스텀린트
- T자형인재
- 한달브런치북만들기
- 프래그먼트
- 좌식테이블
- 테트리스
- 베드트레이
- 베드테이블
- 브런치작가되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51)
정상에서 IT를 외치다

안녕하세요. 블랙진입니다. 이전 시간에는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해주는 기본 기능을 사용해 ViewModel을 초기화 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DI 라이브러리인 Koin과 Hilt을 사용한 뷰모델 초기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여기서는 각 라이브러리의 기본 사용법은 제외하고 오직 ViewModel을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정리했습니다. 정리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생성자에 파라미터가 없는 경우 2. 생성자에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3. SavedStateHandle을 사용하는 경우 🚀 SavedStateHandle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Pluu Dev님의 블로그를 참고해주세요. 여기서는 생략하겠습니다. Koin 0. 모듈 생성 val appModule = module { v..

안녕하세요. 블랙진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ViewModel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아직 AAC의 ViewModel이 무엇인지 모르신 분은 이전 포스팅 AAC의 ViewModel 사용 방법 정리을 참고해주세요. 이번 시간에는 두 포스팅으로 나눠 진행하겠습니다. 첫 번째는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기본 기능만을 사용한 ViewModel 초기화 방법과 SavedStateHandle 사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두 번째 포스팅은 대표적인 DI 라이브러리인 Koin과 Hilt를 사용한 ViewModel 초기화 및 사용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먼저 ViewModel 을 초기화 하는데는 크게 2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1. 생성자에 파라미터가 없는 경우 2. 생성자에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

벌써 한 달이라는 시간이 지났습니다. 오늘 마지막글로 30일 동안 100% 인증을 성공했습니다. 👏👏👏 하지만 마냥 기쁘지만은 않네요. 기쁨과 아쉬움이 공존한 한 달이었습니다. 지난 30일 중에서 시간을 내서 책을 읽고 글을 쓴 적이 있었지만 그만큼 인증을 위한 인증을 한 적도 더러 있었습니다. 30일 중 30일 모두 100점을 줄 수 있었던 날이 아니었던 게 너무 아쉽네요. 시간을 매일 낸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란 걸 다시 한번 더 느꼈습니다. 하지만 분명 혼자 했었다면 인증을 위한 인증 조차 하지 않았을 것이고 오늘의 글도 없었을 것입니다. 매일 새벽에 일어나 꾸준히 운동하시는 분, 동료들의 글을 읽고 댓글과 응원을 남겨주시는 분, 하루도 빠짐없이 아침 명언을 남겨주시는 분 등등 넘치는 에너지와 끝까..
목표와 목적은 다르다. 목표에 대해서라면 2초안에 줄줄이 나열할 수 있을 거다. 하지만 목적은 다르나. 목적이 무엇인지 다음 리스트를 같이 살펴보자. 1. 목적은 삶의 역경에 의미를 부여한다. 2. 목적은 살아가는 동안 변하지 않는다 3. 목적은 당신이 어떤 일을 하든 상관없이 영향을 미친다. 4. 목적은 우리 삶 전반에서 영향을 미친다. 5. 목적은 '가면 증후군'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6. 목적은 우리 안에 있는 호기심 가득한 어린아이 같은 모습을 끌어내준다.

올해 읽을러고 사둔 자기 개발 서적 중 마지막 책이다. 여러 자기 개발 책을 읽다 보니 그 안에는 결국 목적이라는 키워드가 항상 뒤따라다녔다. 최근에 읽은 '한단어의 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 단어는 어떤 일을 하는데 있어 모든 결정의 중심이 되어준다. 그리고 그 한 단어 또한 어떻게 보면 목적을 축약시켜 표현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목차 제 1부 목적에 접근하기 제 2부 나만의 목적 찾기 제 3부 목적의 영향력 목적 중심 리더십은 총 3부로 나눠서 진행된다. 서문을 보면 리더십과 관련된 설문을 작성하라고 한다. 그리고 책을 읽고나서 한번더 작성해 본 후 그 변화를 본인이 직접 체크할 수 있는 도구를 만들주었다. 👉 목적 중심 리더십 설문 링크 👈 설문지에서는 나의 전문성에 대해 많은 질문을 던져준..